class="layout-aside-right paging-number">
본문 바로가기
미술사의 이해

플럭서스(Fluxus) - 참여의 미술!

by jjeong14 2024. 3. 1.

현대미술의 한 흐름으로서 플럭서스(Fluxus)는 20세기 중반, 특히 1950년대 후반에서 1960년대에 활발히 활동한 예술적 운동입니다. Fluxus는 다양한 예술 형식과 일상의 경험을 융합하며, 전통적인 예술의 경계를 허물고 참여와 상호작용을 강조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플럭서스의 주요 특징

-다양한 예술 형식의 융합: 플럭서스는 회화, 음악, 연극, 문학, 디자인, 아키텍처 등 다양한 예술 형식을 융합하여 혼합 미디어의 개념을 강조했습니다. 이러한 다양성은 예술과 생활의 경계를 허물어 예술을 일상과 융합시키는 것을 목표로 했습니다.

-참여와 상호작용: 플럭서스 작품은 관객들과의 참여와 상호작용을 중시합니다. 이는 전통적인 예술 작품이 단방향적으로 감상되는 것이 아니라 참여자들이 작품을 직접 체험하고 창조에 참여할 수 있는 예술 경험을 추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간소함과 하이퍼미디어적 요소: 플럭서스 작품은 간소하고 실용적인 형태를 선호하며, 이를 통해 예술을 대중과 더 가깝게 만들었습니다. 동시에 하이퍼미디어적인 요소를 도입하여 다양한 매체와 플랫폼을 활용하였습니다.

-임시성과 비규칙성: 플럭서스는 작품의 일시적인 특성을 강조했습니다. 예술적 표현을 통해 변화와 불안정성을 감지하고, 작품이 일회성의 이벤트나 공연으로 인식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비상업적 성향과 비예술적 미술가: 플럭서스는 상업적인 예술 시장과의 거리를 두고 비상업적인 성향을 지녔습니다. 이 운동은 이로 인해 비예술적인 미술가들과의 협력을 즐겼고, 상업적인 가치보다는 창의성과 개인적 표현을 중시했습니다.

-유머와 아브스트 미: 유머와 아브스트 미(Abstinence Art)는 플럭서스의 특징 중 하나로, 가벼운 유머와 엽기적인 상상력을 활용하여 전통적 예술의 경계를 깨는 작업을 했습니다.

플럭서스 대표작가와 작품

1. 조지 맥기너스 (George Maciunas)

-특징:

플럭서스의 창시자이자 중심인물로, 이 운동을 통해 비예술적 활동과 비상업적인 예술을 중시했습니다.

플럭서스 운동을 조직하고 지원함으로써, 이 운동의 아이디어와 정신을 확산시키는 역할을 했습니다.

-대표작품:

"Fluxus Manifesto" (1961): 플럭서스의 기본 원칙과 이념을 담은 성명서로, 참여, 상호작용, 비상업적 예술 등을 강조하면서 이 운동의 기틀을 제시했습니다.

2. 유코 오노 (Yoko Ono)

-특징:

음악가, 미디어 아티스트로서 플럭서스 운동에 참여하면서 참여적이고 상호작용적인 작업을 통해 유명해졌습니다.

개방적이고 실험적인 예술 활동을 통해 전통적인 예술의 경계를 넘어섰습니다.

-대표작품:

"Cut Piece" (1964): 관객이 가위를 이용해 그녀의 의상을 잘라내는 퍼포먼스로, 참여와 상호작용을 강조한 작업입니다.

3. 나마 준 파이크 (Nam June Paik)

-특징:

비디오 아트의 선구자로, 플럭서스의 활동에 참여하면서 텔레비전과 비디오 등의 매체를 미술 작업에 통합한 혁신적인 작가로 알려졌습니다. 전자 기술과 미디어 아트의 결합을 통해 현대 예술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습니다.

-대표작품:

"TV Buddha" (1974): 부처상 앞에 텔레비전 카메라를 두고, 그 영상을 다시 텔레비전에 송출하는 형태로 현실과 영상, 과거와 현재의 경계를 탐구한 작업입니다.

4. 조지 브레히트 (George Brecht)

-특징:

음악가이자 화가로, 이벤트와 퍼포먼스 작품을 통해 플럭서스 운동에 참여하면서 참여적 예술을 구현했습니다.

음악적 원리를 적용한 그의 작업은 간단하면서도 획기적이었습니다.

-대표작품:

"Drip Music" (1959): 물방울이 떨어지는 소리를 이용한 음악 작품으로, 물리적인 현상을 예술적 표현으로 사용했습니다.

5. 피터 후플레 (Peter Hüpfle)

-특징:

독일 출신의 예술가로, 오브제와 인스톨레이션 작품을 통해 플럭서스의 정신을 전파하였습니다.

가볍고 하이퍼미디어적인 작업으로 플럭서스의 다양성을 보여주었습니다.

대표작품:

-"Blackboard" (1976): 학교의 칠판을 모티프로 한 이 작품은 상호작용적 참여를 통해 관객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선사합니다.

플럭서스의 영향 및 의의

1. 전통적 예술 경계의 탈피:

플럭서스는 회화, 음악, 연극 등 다양한 예술 형식을 융합하고, 비디오, 오디오, 퍼포먼스 등 새로운 매체를 활용함으로써 전통적인 예술의 경계를 허물었습니다. 이는 예술이 다양한 형식과 매체를 통해 표현될 수 있음을 보여주며, 예술의 다양성과 확장성을 제시했습니다.

2. 참여와 상호작용의 강조:

플럭서스는 관객들이 예술 작품에 참여하고 상호작용하는 경험을 중시했습니다. 작품이 일방적으로 감상되는 것이 아니라 참여자들이 작품의 일부가 되어 창작 과정에 직접 참여함으로써 예술을 체험하도록 유도했습니다. 이는 예술과 관객 간의 관계를 새롭게 정립하였습니다.

3. 비예술적 예술의 탄생:

플럭서스는 상업적 예술 시장과의 거리를 두면서 비예술적 활동과 비상업적 예술을 중시했습니다. 이는 미술이 돈과 시장에 구속받지 않고 순수한 창의성과 예술의 가치를 추구할 수 있다는 신념을 전달했습니다.

4. 예술의 일시성과 비규칙성:

플럭서스 작업은 종종 일회성의 이벤트나 퍼포먼스로 이루어져, 예술 작품이 영원히 남아있지 않고 일시적인 경험이라는 개념을 강조했습니다. 이는 예술의 변화와 불안정성을 받아들이는 태도를 나타냈으며, 예술의 미래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열어주었습니다.

5. 미디어 아트와 테크놀로지의 결합:

플럭서스는 전자 기술과 미디어 아트를 기반으로 한 작품을 통해 현대 예술의 트렌드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특히, 나마 준 파이크(Nam June Paik)와 같은 아티스트는 비디오 아트의 선구자로서 미디어와 예술을 결합하며 새로운 예술 언어를 개척했습니다.

6. 현대 예술의 다양성과 융합:

플럭서스는 예술 형식과 장르를 자유롭게 융합함으로써 현대 예술의 다양성과 융합성을 강조했습니다. 이는 예술가들이 자유롭게 다양한 형태와 매체를 사용하여 표현할 수 있게 하였습니다.